돌 전

3개월 아기 예방접종, 꼭 챙겨야 할 것들

제주 예니 2025. 4. 11. 06:30
728x90
반응형

“3개월 아기, 어떤 예방접종을 언제 맞아야 할까요?”
“접종 후 열이 나면 어떻게 해야 하죠?”

생후 2개월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예방접종은 3개월 시기에도 계속 이어져요. 초보 부모라면 3개월 아기 예방접종 스케줄과 주의사항이 꽤 헷갈릴 수 있죠.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국가예방접종 기준을 바탕으로 꼭 알아야 할 항목들을 정리해드릴게요.

 


3개월 아기 예방접종, 어떤 것들을 맞아야 할까?

생후 2개월부터 시작된 필수 예방접종은 보통 4주 간격으로 진행돼요. 따라서 생후 2개월에 첫 접종을 했던 아기라면, 3개월에도 2차 접종 시기가 도래하죠.

✔︎ 3개월 시기 대표 예방접종 항목

  • DTP (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 2차
  • IPV (폴리오) – 2차
  • Hib (뇌수막염균) – 2차
  • 폐렴구균 (PCV) – 2차
  • B형간염 – (1차 또는 2차, 접종 시점에 따라 다름)
  • 로타바이러스 – 2차 (선택접종)

대부분의 백신은 혼합백신 형태로 접종되기 때문에 한 번에 여러 가지 예방이 가능해요. 예를 들어 DTP + IPV + Hib은 6가 혼합백신으로 접종하는 경우가 많아요.


국가예방접종(NIP), 무료로 가능한가요?

3개월 아기 예방접종 항목 중 DTP, IPV, Hib, 폐렴구균, B형간염은 보건소 및 지정 병원에서 국가예방접종(NIP)으로 무료 제공되고 있어요.

단, 로타바이러스 백신은 선택접종으로, 종류(로타릭스/로타텍)에 따라 2~3회 접종이 필요하고, 비용은 개인 부담이에요.


 

예방접종 전 체크리스트

접종 당일에는 아기의 컨디션을 꼼꼼히 확인해야 해요. 접종 전후로 아기가 예민하거나 열이 날 경우, 의료진과 상의 후 일정을 조정하는 것이 좋아요.

접종 전 꼭 확인해야 할 것들:

  • 체온이 37.5도 이하인지
  • 최근 감기, 발열, 설사 증상이 없는지
  • 예방접종 전날 과하게 흥분하거나 피로하지 않았는지
  • 과거 예방접종 후 이상 반응이 있었는지

수유는 평소대로 가능하며, 접종 후에도 모유나 분유를 먹여도 괜찮아요.


접종 후 주의사항

3개월 아기 예방접종 후에는 일시적인 미열, 보챔, 접종 부위의 발적·통증 등이 나타날 수 있어요. 이는 면역 반응의 일환으로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주의 깊게 관찰해줘야 해요.

접종 후 이런 경우는 괜찮아요:

  • 37.5~38.5도 정도의 미열
  • 접종 부위가 살짝 부어오르거나 따끔한 듯 울음
  • 하루 정도 컨디션이 예민해짐

의료기관에 연락해야 할 경우:

  • 38.5도 이상 고열이 2일 이상 지속
  • 접종 부위가 심하게 붓거나 고름 발생
  • 아기가 처지고 수유 거부, 경련 등의 이상 증세 보일 때

접종 당일은 과한 외출이나 목욕은 피하고, 충분히 안정을 취하게 해주는 게 좋아요.


로타바이러스 백신, 꼭 맞아야 할까?

로타바이러스는 영유아 장염의 대표 원인 중 하나로, 만 6개월 이전 첫 접종이 필수예요.
2회 접종(로타릭스)과 3회 접종(로타텍) 중 하나를 선택해서 맞게 되며, 종류에 따라 접종 스케줄이 달라지므로 동일 제품으로 끝까지 접종하는 게 중요해요.

로타 백신은 **경구용**으로, 주사 대신 입으로 먹이는 백신이에요. 접종 후 1주일은 손 위생 관리가 특히 중요하며, 대변 배출 시 보호자가 감염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해요.


정리하며

3개월 아기 예방접종은 생후 2개월부터 시작된 기초 백신의 연속입니다.
DTP, IPV, Hib, 폐렴구균, B형간염은 국가에서 무료로 지원되며,
로타바이러스는 선택접종이지만 장염 예방에 매우 효과적입니다.
접종 전후 아기의 컨디션을 잘 체크하고, 이상 반응이 생기면 빠르게 의료진과 상담하세요.
반응형